사법부가 결국 또다시 '경제현실' 앞에서 무릎을 꿇었다.
실정법을 위반한 것을 인정하면서도 정몽구 현대차 회장에게 사회봉사 명령을 내린 것이다.
뭐, 사실은 하루이틀 본 일도 아니니까 새삼스럽지도 않다.

그러나 아침부터 화를 나게 하는건 이런 것들이다.

1...

"재능 있는 사람은 재능을, 재산이 있는 사람은 재산을 공여하게 해
그게 당사자에게 부담이 되면 실형에 갈음한다고 생각한다. 감옥에 1년 가는 것보다..."

그러면 감옥에서 실형을 살아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는 그 사람이 사회에 무엇을 내놓을 수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얘기인가?
재능 없고, 재산도 없는 사람만 몸으로 때워라?
언제 대한민국 헌법이 바뀐 것인지 모르겠지만,
'경제현실'이 '사람에 대한 정의'보다 우위에 서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 사법부의 잣대라면,
정말... 죄 짓지 않고 살아야 할지어다.

2...

재판부는 정 회장에게... 준법경영을 주제로 전경련 회원들에게 2시간 이상 강연을 하고,
일간지에 같은 주제로 기고할 것 등을 명령했다.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 '준법'을 주제로 강연을 하거나 글을 쓴다면 무슨 내용이어야 할까?
당연히 자기고백과 사죄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건 상식이다. (상식일 것이다..도 아니다.)
대형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 반성도 안하고서 '법을 지키자'고 외쳐대면 얼마나 웃기겠는가.
하지만 정 회장이 그렇게 할 가능성은 0%에 가까워 보인다.
물론 잠시 인사말처럼 '국민 여러분께 죄송합니다.'라는 립 서비스를 한 번 정도 날려 주기야 하겠지만, 진심은 아닐 것이다.

정 회장이 또 다른 범법행위를 할 것이라는건 적어도 내겐 분명해 보인다.
잘못을 저질러도 전 재산 100만 원 중에 만 원만 내고, 적당히 고개 숙이는 시늉만 해주면 벌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아는데
그 누가 1,000만 원을 벌 수 있는 일을 안하겠는가?

아침부터 괜히 흥분하면서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
열심히 공부해서 사법시험을 보지 않은 것은 바보 같은 짓이었을까? 아니면 잘한 짓이었을까?

Posted by 아우구스투스
,

얼마 전 평소 친하게 지내는 사람과 술자리를 함께 하다가
둘 관계에서는 잘 얘기하지 않던 '정치'를 안주로 올리게 되었다.

언제인가 유시민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을 그 사람에게 심어준 뒤,
그는 나름대로 책도 읽어보면서 호감을 갖게 되었는지
이번 대선 후보 중 유시민을 가장 선호한다고 했다.

술이 살짝 취한 나는 조금 언성을 높이면서 '아니다'라고 얘기했다.
(평소 내 스타일이라면 '아닌 것 같다'라고 했을 것이다)
[유시민의 경제학까페]라는 책을 쓸 당시의 유시민이 아니라는 점에 대해
구구절절 읊어댔다.

그가 물어봤다. 그러면 누가 좋은데?
난 뜬금없이 '문국현'이라고 대답했다.
기존에도 가끔 이름을 들어본 적은 있었지만, 자세히 알지도 못하는 사람이었다.
며칠 전 [오마이뉴스]의 기사를 본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된 것 같았다.

하지만, 나같이 단순한 사람에게 정보의 양은 중요하지 않다.
사람으로서 '감동'을 먹고 나면 일단 50%는 인정해준다.
'문국현'은 그런 사람으로 내게 다가왔다.

그 일 이후 그 사람과 다시 가진 술자리에서,
그는 스스로 '문빠'가 됐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커뮤니티에도 가입하고,
온라인 게임을 하면서 채팅으로 '문국현'을 홍보하고,
여자친구에게 압력을 넣기도 하고...
스스로 말하듯 "난생 처음" 정치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한다.
이젠 내가 그 사람에게서 '문국현'에 대해 배워야 할 처지가 되었다.

꼭 그 사람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유심히 살펴보면 '문국현'에 열광하거나 '검토 가능한 대안'쯤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단순히 기존 정치인과는 다르다는 것 때문이 아니라,
그가 내세우는 '콘텐츠'와 '삶의 과정'에 감동을 받고 있는 것 같다.

문국현은 '사람 중심, 진짜 경제'라고 외친다.
어느 기사에는 한나라당 관계자가 이 구호를 보며 섬뜩함을 느꼈다고 전했다.
이건 이명박 후보의 구호를 '재벌 중심, 가짜 경제'로 환치시키는 절묘한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아하~ 무릎을 쳤다.
그의 메시지는 너무나 분명하고,
이명박 후보가 압도적 1위를 하는 이 웃기는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한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한
중요한 단초를 던져주는 것이었다.

앞으로 남은 시간 그가 우리에게 보여주어야 할 것과,
내가 그를 알아가야 할 것들이 많이 남아 있지만
적어도 그가 정치적으로 내게 주는 감동은 그렇게 커져가기 시작한다.

난 원래 '환호' 같은건 잘 못해서
떠들썩한 콘서트장에서도 그저 앉아서 손뼉치며 즐기고 만다.
그런 내가 '문국현'이라는 사람 때문에 오랜만에
즐거운 환호성을 지르게 될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Posted by 아우구스투스
,

지난 8월 26일 KBS의 [취재파일4321]에서 일반인들에게는 충격적인 사실을 공개했다.
인터넷뱅킹의 기술적인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입한 OTP(One Time Password)마저도 무력화 시키는
새로운 해킹 기법을 보여줬다. (기사 및 동영상 보기)
주로 게임 아이템을 빼돌리기 위한 수법으로 사용되던 '메모리해킹' 기법을
인터넷뱅킹에 적용해 기존의 모든 기술적 방어벽을 완전히 무력화시킨 것이다.

기사에도 나와 있지만, 이 문제는 지난 7월 국회에서 비공개로 개최된 토론회에서도 제기됐던 문제였다.
나도 참관하러 갔었는데,
당시 토론회를 개최했던 김현미 의원실에서 '메모리해킹'으로 돈을 엉뚱한 곳으로 이체하는 시범을 보였었다.
하지만 토론회는 이미 도입된 기술에 대한 왈가왈부만 있었을 뿐, 정작 '메모리해킹'에 대해서는 논의조차 되지 못했었다.
토론회 말미에 김현미 의원이 "답답하다"라고 마무리 인사를 할 정도였다.

아직은 피해가 없어서 다행이지만,
이미 언론을 통해 철통같은 인터넷뱅킹을 무력화 시키는 방법이 공개된 이상 피해는 곧 발생할 것이다.
금융감독원이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고 전해 들은 적이 있지만,
'기술'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결국은 새로운 '방패'를 뚫을 '창'이 등장할 때까지의 시간만 버는 셈이 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Posted by 아우구스투스
,

적어도 삼성전자는 국내에서 무서운(?!) 1인자다.
일부 백색가전 분야를 제외하면 그 어느 업체가 삼성전자의 아성에 도전할 수 있겠는가?

하지만 외국에서는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8월 23일 기사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2/4분기 북미 LCD TV 시장에서 판매 대수 기준으로 미국의 무명회사인 비지오(VIZIO)사에게 점유율 1위 자리를 내줬다는 것이다. 매출액 기준으로는 여전히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지만, 그마저도 비지오사가 턱 밑까지 쫓아왔다고 한다. (관련기사)

여러가지 분석을 할 수 있고, 원인을 찾을 수 있겠지만
분명한 사실은 아주 평범한 전략을 구사한 업체에게 1위 자리를 내줬다는 것이다.
굳이 1등이 실수하지 않더라도 "영원한 1등은 없다"는 말을 현실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셈이다.

그렇다면 한국에서도 삼성전자를 상대로 그것이 가능할까?
솔직히 잘 모르겠다.
품질과 가격 경쟁력, 효과적인 마케팅 전개 같은 것들이 당연히 필요한 요인들이겠지만,
그것만으로는 1위를 딛고 올라서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업계 상황 뿐만 아니라, 정치적 환경이나 1위 업체의 남 죽이기식 수성(守城) 전략 등
넘어야 할 산이 정말 많다.

그래서 궁금하다.
언제쯤이면 한국에서도 "영원한 1등은 없다"는 사례가, 그것도 무명 업체가 1위를 차지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을까?

Posted by 아우구스투스
,

얼마 전 개최된 [한국 IDC 보안 컨퍼런스]에서 올해 출현할 것으로 예상되는 10가지 중요한 보안 이슈를 발표됐다. 그 중 아래 항목들은 눈여겨 볼만한 대목인 것 같다.


- 사이버 범죄 증가: 관련 IT 서비스 시장 성장할 것
- 정보 도용 문제: 개인에서 기업환경으로 녹아들 것
- 보안은 더욱 강화되고, 성가신 일이 될 것: 많은 벤더와 업체 난립, 복잡성 귀찮음 등을 간편하고 손쉽게 구현해야


솔직히 나에게는 낯선 '보안'이라는 영역에 발을 들여 놓으면서 당혹스러웠던 것은 무엇보다 '어렵다'는 것이었고, 생각보다 주변 IT 서비스가 보안에 '허술'하다는 점이었다.


창과 방패의 싸움 같은 '해킹'과 '보안'의 문제는 지금까지 기술적인 측면에서만 접근되어 왔고, 결국 기술이 기술을 서로 잡아먹는 형국이 되어 버렸다. 그러다보니 보안은 '돈'으로 해결될 수 밖에 없는 '계륵' 같은 존재가 된 것 같다.


문제는... 이 '계륵'을 왠만한 IT 서비스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1차적으로 물론 '돈' 문제이고, 2차적으로는 '난해함'의 문제이다.
중소 벤처 입장에서 수억 원이라는 돈을 투자해서 보안 솔루션을 도입한다는 것은 거의 'mission impossible'에 가까운 일이고, 보안 담당자를 따로 둔다는 것 또한 엄청난 사치(!)로 취급되기 십상이다.


[IDC]의 거창한 발표가 아니더라도, 앞으로 보안 시장은 빠르게 확대될 것이다. 그것은 또 다른 의미로 그만큼 또 많은 피해가 발생하리라는 예견에 다름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다른 길을 모색해 봐야 하지 않을까?

기술 중심의 보안으로부터 눈을 돌려 보다 쉽고, 저렴한 방법으로 많은 서비스에 보안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시점인 것 같다.


※ 참고: IDC 보안 컨퍼런스 관련 글
https://www.dbguide.net/know/know101003.jsp?IDX=1233&catenum=14

Posted by 아우구스투스
,